본문 바로가기
대기환경기사/대기환경기사 1,2,3단원

[3. 대기오염방지기술] 04 환기 및 통풍

by onndoo 2023. 2. 16.
반응형


01 환기

1. 국소환기
후드(Hood), 흡입송풍관(Dust), 공기청정장치(Air Cleaner), 송풍기(Blower), 배풍기(Exhausts), 배기구 로 구성되어 있음

(1) 후드
오염물질의 발생원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, 국소배기장치의 입구역할을 함
후드는 발생원과의 휘치에 따라 크게 4가지 방식으로 분류함

종류 특징
포위형 후드(Enclosure type) ○ 오염의 발생원을 전부 둘러싼 형태
○ 송풍량이 적어 후드의 효과가 최대로 나타남
부스형 후드(Booth type) ○ 하나의 개구면을 제외하고 발생원 주의를 전부 둘러싼 것
리시버식(수형)후드 (Receiving type) ○ 고열을 내는 발생원에서 열부력에 의한 상승기류나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관성기류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오염기류가 발생할 때 그 기류의 방향에 따라 오염공기를 받아들이는 것 ex. 캐노피형 후드
외부식 후드(Exterior type) ○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원을 둘러쌀 수 없을 경우에 작업에 방해받지 않도록 발생원과 떨어져 설치하는 것
ex. 슬롯트형 후드

★ 후드의 설치 및 흡인요령
발생원에 근접시켜 흡인시킨다
에어커텐을 사용한다
후드의 개구면적을 좁게해 흡인속도를 크게함
배풍기에 충분한 여유를 둔다
충분한 포착속도를 유지함
국부적인 흡인방식으로 주 발생원을 대상으로 함

※ 후드의 흡인풍량 공식

(2) 송풍관 (Dust)의 압력손실


(3) 후드관련공식

 

02 통풍

(1) 송풍기 종류

종류 특징  
원심력형 터보형 ○ 효율이 가장 좋고 적은 동력으로 운전 가능
○ 고온 고압 대용량에 적합
○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
압입 통풍기로 사용
평판형 ○ 강도가 크고 마모, 부식에 강함
○ 모양이 간단
○ 대형으로 중량이 크고 설비비가 비쌈
흡입 통풍기로 사용
다익형 ○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렴함
○ 효율에 비해 큰 동력이 소비됨
 
축류형 프로펠러형 ○ 직접 옥외로 배기하는 경우 또는 전체 환기에 적합  
튜브형 ○ 송풍관 내 넣을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음
○ 저풍압, 대풍량의 용도로 적합
 
베인형 ○ 효율은 30-60%로 기류가 안내날개로 정류되어 소용돌이가 없어지므로 비교적 고효율이고 다익송풍기와 같은 정압이 나옴  

(2) 송풍기 운전시 유량조절 방법
송풍기 상사법칙


송풍기 동력공식


송풍기 압력손실


(3) 통풍의 종류와 특징

종류 특징
자연통풍 ○ 온도차와 밀도차에 의한 대류현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풍
○ 노 내압이 부압(-)으로 외기침입이 자주 발생함
○ 자연통풍의 유속은 3-4m/sec, 통풍력은 15mmH₂O
강제통풍 ○ 압입통풍, 흡인통풍, 평형통풍이 있음

댓글